본문 바로가기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3회 [식탁 위의 조선사] 궁중 음식의 음과 양 외전 3회 [식탁 위의 조선사] '궁중 음식의 음과 양' 의녀 장금이가 드라마 에서 온갖 음식을 만들 게 된 사연은?조선 시대 때 역관과 의관이 왕보다 잘 먹었다는데... 주영하 교수와 함께 하는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 마지막 회입니다. 팟빵 바로가기 아이튠즈 바로가기 네이버오디오캐스트 바로가기 번외편 애청해주신 독자님들~ 감사합니다!^^ 더보기
[휴머니스트 페스티벌] '가을 지식 여행' 3강 <고문서로 들여다보는 조선시대인의 삶> 이벤트! 휴머니스트 페스티벌 '책, 예술가, 고문서'와 떠나는 가을 지식 여행3강 EVENT! 3강 참석자 이벤트'조선시대인의 맨 얼굴만큼 솔직한 고사성어' 수업 후 느낌을 담은 사자성어, 혹은 좋아하는 고사성어나 사자성어를 아래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과 함께 성함과 연락처 뒷번호 4자리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전경목 선생님의 친필사인이 담긴 책 를 선물로 드립니다. 휴머니스트 페스티벌의 마지막 이벤트!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기간 : 11월27일(수) ~ 12월3일(화) 휴머니스트페스티벌 3강 참석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입니다. 당첨자 분에게는 개별 연락 드리겠습니다. * 3강 이벤트가 마감되었습니다~! 이벤트에 참여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당첨자분에게는 개별적으.. 더보기
2002년, 1990년대 시민운동의 변화를 예고하다 1) 백화점식 운동에 대한 문제 제기 사회적 영향력의 확장이 그칠 것 같지 않던 시민운동에 변화가 오기 시작한 것은 총선연대 활동을 거치고 난 2002년 무렵이었다. 2000년 총선연대 활동은 하나의 변곡점이었다. 2001년만 해도 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은 여전해서 그런 변화를 느낄 여지가 별로 없었다. 2001년에는 사회 전체가 의약분업 문제로 논란이 분분한 해였는데, 거의 모든 관련 토론 프로그램에는 경실련, 참여연대, YMCA의 정책 파트 책임자들이 나와서 우리나라 의료체계, 의료수가 문제 등을 놓고 보건복지부 관계자, 의사, 약사 등과 설전을 벌였다. 지금의 의약분업 체계는 당시에 그 골조가 정해진 것인데, 관련 위원회에도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포함되어 역할을 했다. 의약분업에 대해 의사는 의사대로 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