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모든 이야기는 한 장의 고문서에서 시작되었다!' 알라딘과 함께하는 인문학 스터디 시즌2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케케묵은 고문서에 깃든 사연을 탐정이 사건을 캐듯 추적해보는 인문학 스터디!전경목 선생님과 함께하는 고문서 탐구를 통해, 조선시대의 일상사를 만나보세요! *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성함과 참석인원, 연락처를 비밀댓글(COMMENT)로' 남겨주세요. ☞ 알라딘 인터넷서점에서 신청하기 ☜ 더보기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5부 업데이트! 고문서 연구의 대가 전경목 선생님과 함께하는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5부 : 조선시대 처첩의 차이와 차별 완전 참신한 관점으로 알아보는 조선사! 케케묵은 고문서 한 장으로 추적하는 조선의 일상사!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5부에서는 처첩 구별의 결정적 증거인 '혼서'를 살펴보며 조선시대의 중매와 혼인, 처첩의 차이와 차별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 팟빵 바로가기 아이튠즈 바로가기 네이버오디오캐스트 바로가기 마지막 방송의 아쉬움을 달래며... 전경목 선생님의 책이 출간되었습니다!팟캐스트와 함께 보시면 더욱 생생한 조선시대인의 삶을 만나보세요. 더보기 새롭게 성장하는 운동들 새롭게 성장하는 운동들 앞서 소개한 그래프(1990년대 시민운동의 정점, 2000년 총선연대)를 통해 이전까지 주요 언론에 노출되는 빈도가 계속 하락하던 시민운동, 시민단체라는 말이 2004년부터 다시 빈번하게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이야기했다. 2004년 무렵에는 언론이 경실련이나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 주요 시민단체의 활동을 보도할 때 굳이 시민단체라는 설명을 덧붙이지 않았다. 사람들이 설명을 생략해도 될 정도로 잘 알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필자가 1990년대 후반 경실련에 근무할 때 서울 시민을 상대로 경실련의 인지도 조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10퍼센트 정도가 경실련을 안다고 답했다. 2000년 총선연대 활동 이후에 한 매체에서 시민단체들의 인지도 조사를 했는데, 경실련과 참.. 더보기 이전 1 ··· 85 86 87 88 89 90 91 ··· 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