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재 안내] 정인 씨, 손가락 축지법은 어디서 배웠나요? 안녕하세요.오늘 아침도 무사 출근 하셨는지요?저는 오늘 연재 예정인 연재자 '만인의 정인'의 선배 씨입니다. 기다리시던 '만인의 정인'이 아닌 선배 씨가 등장한 이유는….네, 지금 문득 떠오르신 바로 그 이유가 맞을 거예요. 현재 '만인의 정인' 님께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애쓰고 있으셔서 오늘 의 휴재가 결정되었습니다. 2014년1월 23일 19시 '만인의 정인' 모습정확한 검색과 엄청 빠른 타자 속도를 위해 손가락 축지법 신공을 선보이고 있다. 2014년1월 24일 08시 30분 '만인의 정인' 모습오늘 하루도 쉬지 않고 애쓰겠다는 마음가짐으로 모닝 어묵국과 김밥 1줄을 드시며 업무를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2월 7일 상큼발랄한 글로 찾아뵙는다고 하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그럼 .. 더보기
네이버TV캐스트에서도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만나보세요! :) 독자분들과 팟캐스트 청취자 분들의 성원에 힘입어!이 출판사 최초 네이버TV캐스트에 진출했습니다! 팟빵이나 아이튠즈 팟캐스트 이용이 조금 어려우셨던 분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까요?ㅎㅎ'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네이버오디오캐스트'도 많이 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다큐멘터리 '재창조의 참 가치' 와 북 트레일러도 만나보세요. 네이버TV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오디오캐스트보러가기 >>> http://tvcast.naver.com/humanist 더보기
인터넷을 매개로 한 운동의 자발적 모임들의 성장 2) 인터넷을 매개로 한 운동의 자발적 모임들의 성장 우리 사회에서 인터넷이 상업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반부터이다. 다음(Daum)이 1995년에 창업했고, 이메일 돌풍을 몰고 온 한메일이 1997년부터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사회 운동 진영에서 인터넷이 중요하게 여겨지기 시작한 것은 2000년에 총선 연대 활동을 경험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96년 무렵 필자가 경실련에 있을 때 광통신선이 사무실에 들어왔는데, 사무실에서 인터넷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거나 이메일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다. 물론, 그런 환경 자체가 마련돼 있지 않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적었다. 2~3인이 컴퓨터 한 대를 공유했고 대부분이 문서 작업용으로 이용했다. 필자에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