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의 역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면 사소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음식의 역사만큼 거시사와 미시사를 아우르는 것도 없다.
사람은 잘났건 못났건 누구나 먹어야 살고,
먹기 위해 경제활동은 물론이고 사회/정치 활동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개인이나 사회가 무엇을 어떻게 먹고 살아왔는지를 알면 그 사회의 역사가 보인다.
특히 20세기, 세계 체제에 편입된 100여 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 음식의 역사는
거시사와 미시사의 절묘한 조합이다.
우리는 지난 100년간 무엇을 먹어왔을까?
근대인의 밥상에서 현대인의 식탁까지,
메뉴를 통해 살펴본 20세기 한국 음식문화사
한식(韓食)은 한국인의 일상인 동시에 한국을 상징하는 문화유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과연 한국 음식은 조선시대부터 변함없이 이어온 문화유산일까? 이에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음식을 역사로 만들고 역사를 정답으로 여기는 사회적 풍토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한국 음식의 원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보다 중요한 것은 ‘한국 사람은 무엇을 어떻게 먹어왔는가’라는 질문이라고 주장한다. 한 개인이나 사회가 무엇을 어떻게 먹고 살아왔는지를 알면 그 사회의 역사가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의 한국 음식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20세기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20세기 한국 음식문화의 특징은 식객에서 고객으로 변화한 근대적 외식업의 탄생을 들 수 있는데, 이 책 《식탁 위의 한국사》는 지난 100년간 한국인의 식탁에 오른 메뉴를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사를 들려준다. 메뉴로 오른 음식이 시대에 따라 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그 탄생과 기원을 미시적으로 추적할 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변동이 음식문화에 끼친 영향을 거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일상 속 음식에 얽힌 변화상과 역사성을 통찰한다. 개별 메뉴의 에피소드 나열식 역사 서술을 넘어 해당 메뉴가 유행 가능했던 시대적 함의를 들려주는 이 책은 한국 음식의 역사에 대한 정답을 제시하기보다 음식을 통해 한국 사회를 바라보는 안목을 제안한다. “생물학적인 음식에는 물질이 담겨 있지만, 문화적인 음식에는 생각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주영하 지음
152×224 | 무선 4도 | 572쪽 | 29,000원 | 2013년 9월 2일
'H_기억하고 싶은 책 > 휴머니스트 책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별그대' 류승룡 카메오 출연, '허균'은 어떤 사람? (0) | 2014.02.21 |
---|---|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 그의 ‘미학’이 지나온 20년을 말하다 (0) | 2014.01.16 |
막걸리 한 모금의 추억 (0) | 2013.11.13 |
사랑은 눈을 통해.. (3) | 2013.10.30 |
나는 그냥 배가 아픈 건데 (0) | 201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