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_지식 배움+가치 나눔/강의-다시보기

진중권 특강-"다른 눈으로 보는 것, 그것이 우리 시대의 미학이다"/인문학 페스티벌








 

3강 우리 시대 대표 논객,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이 펼치는 현대 예술의 세계

  

 특강 일시: 201353일 저녁 7~9

 


다른 눈으로 보는 것, 그것이 우리 시대의 미학이다

 

미학은 다른 눈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 시대 대표 논객이자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은 미학과 미술사를 접목한 서양 미술사 강좌를 통해 바로 이 새로운 시각과 남과 다른 미감을 키우는 법을 이야기합니다. 전후 현대 예술사에 등장한 다양한 예술 양식들을 살펴보면서 새로움이란 무엇인가?’를 찾으려는 당대 예술가와 비평가의 치열한 고민과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난해한 현대 미술과 그 너머 깊은 철학적 사유를 함께 읽어나가면서, 역사를 바꾸는 새로운 생각, 새로운 예술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 유쾌한 작업에 동참해보길 바랍니다.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은 미학과 미술사를 접목하여 후기모던에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예술 세계와 비평의 역사를 넘나든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미술의 주도권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아방가르드의 정치적 성격은 희석되고 뒤샹의 이 주었던 새로움과 파격은 오히려 예술의 규칙이 되었다. 일상의 사물과 예술 작품을 판가름하는 기준은 예술가의 선언문이 아니라 비평가의 평론이었다.


이 책은 전후 예술계의 새로운 주역으로 떠오른 주요 비평가들의 평론을 중심으로 추상표현주의, 앵포르멜, 미니멀리즘, 해프닝, 플럭서스, 팝아트 등 후기 모던에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예술을 탐구한다. 난해한 현대미술 작품의 바탕에 깔린 사유와 논리를 명료하게 드러냄으로써 현대예술의 지형도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해준다

 


 

1. 알약, 형광등, 깡통 수프는 어떻게 예술이 되었나? - 전후 현대미술사의 재구성

 

고흐의 해바라기가 300억이라면 모두들 수긍하지만 청계천에 놓인 클래스 올덴버그의 작품 <스프링>30억이라면 바로 고개를 갸웃할 것이다. 과거의 예술 작품에 비해 그 외형이 단순하고 빈약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중에게 현대미술은 좀처럼 쉽게 감동을 주거나 그 의미가 쉽게 이해되지 않는 예술이다. 이 책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은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 미니멀리즘의 형광등’, 앤디 워홀의 깡통 수프’, 그리고 플럭서스의 알약까지, 이름만 들어도 난해한 현대미술의 세계를 소개할 뿐만 아니라 그 흐름을 명쾌하게 살필 수 있도록 지형도를 그려주는 반가운 책이다.

이 책은 잭슨 폴록을 중심으로 미국에서 일어난 2차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다룬다. 이전의 모더니즘이 실질적으로 정치운동과 그 맥락을 함께했다면, 종전 후 세계 미술의 주도권은 유럽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며 또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생긴 가장 중요한 변화는 예술의 탈정치화. 예술이 공개적인 사회적 표현을 삼가는 대신 개인의 자유를 표방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서 뒤샹이 변기에 사인을 하면서 제도권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전전 모더니즘의 흐름은, 1940~1960년대 네오 모던에 이르러 그 일탈마저 규칙이 되고 제도화 되고 말았다. 자신만이 진정으로 새로움을 선언했던 모더니즘 예술과 달리, 오늘날의 예술에는 특정한 예술 양식이 없다’. 진중권은 이렇게 난해한 현대 미술의 예술사적 의미와 그 맥락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비평가의 평론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2. 전후 현대예술과 비평의 역사를 넘나드는 유쾌한 지적 탐험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비평가의 역할과 그 평론의 역사이다. 전후 모더니즘의 흐름 속에 새로이 떠오른 예술 주체는 바로 비평가였다. 전전의 예술가들이 직접 강령과 선언문의 형태로 자신들의 생각을 드러냈다면, 전후 미술 작품의 의미를 언어로 설명해준 이들은 바로 비평가들이었기 때문이다. 불 켜놓은 형광등, 늘어놓은 벽돌, 글씨 몇 자 새긴 알약, 코카콜라나 캠벨수프 그림 등, 뒤샹의 이후 예술작품과 일상의 사물 사이에 구분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가운데 예술의 정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가 아니라 하나의 사물이 언제 예술인가?’에 따라 판가름 되었다. 그린버그를 비롯한 오늘날 비평가들의 평론은 작품에 사후적인 평가를 부여할 뿐 아니라 작품 자체를 성립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비평가 그린버그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잭슨 폴록이 존재할 수 없었듯, 작품의 의미를 생산하는 비평가는 이 시대의 새로운 예술가였던 셈이다.

이 책은 오늘날 미술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비평가인 그린버그를 포함하여 할 포스터, 로잘린드 크라우스 등 20세기 후반 비평계를 이끈 주역들의 포괄적이고 결정적인 논의를 제공한다. <들어가기>에서는 현대미술계를 이끈 미국 비평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정리했고, 본문에서는 평론을 중심으로 추상표현주의, 앵포르멜, 색면추상, 탈회화적추상을 거쳐 개념미술, 미니멀리즘, 팝아트, 국제상황주의, 해프닝, 플럭서스 등을 다룬다. <나가기>에서는 모던-포스트모던 논쟁과 관련하여 전후미술에서 조각의 흐름을 살펴본다.

저자 진중권은 치밀한 글쓰기를 통해 복잡한 현대예술사를 총체적으로 정리하면서,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과 철학 개념들을 풀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약 100여 개의 현대미술 작품과 이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의 예술 담론을 복합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 책을 읽은 독자가 자기만의 미술사를 주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은 대중문화와 사회 전반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에도 큰 시사점을 준다. 하나의 사건을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문화의 또 다른 흐름으로 주조해내는 것. 이 책에서 우리는 어떻게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문화의, 새로운 사회의 생산자가 될 수 있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우리 시대 예술과 대중문화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라는 현재적 질문에 따라, 과거가 아닌 지금 여기의 예술이 만들어지고 있는 치열한 현장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대중문화와 사회 전반에 대해 늘 소신 있는 독설을 서슴지 않는 미학자 진중권의 사회적 책임감과 신념, 그 미학의 총체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