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팟캐스트 외전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정도전을 위한 변명 - 혁명가 정도전, 새로운 나라 조선을 설계하다> 7부 업데이트!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정도전을 위한 변명 7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외전 -  정도전을 위한 변명 


7부 "미완의 신화"



<자조(自嘲)>


조존(操存), 성찰(省察) 두 가지에 공력을 다 기울여

서책에 담긴 성현의 참 교훈을 저버리지 않고 떳떳이 살아왔소

삼십 년 긴 세월 온갖 고난 다 겪으면서 쉬지 않고 이룩한 공업(功嶪)

송현 정자에서 한 잔 술 나누는 새 다 허사가 되었구나


-정도전의 마지막 유언과 같은 시, 《삼봉집(三峰集)》-



그날 밤 죽은 자들은 말이 없었고, 살아남은 자들은 이방원 앞에 줄을 서느라 정신이 없었다. 당당하게 죽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목숨을 구하여 인간으로서의 자존도 체통도 모두 내팽개친 사람도 있었다. 동트기 전에 대세는 기울었고 여드레 만에 이성계가 왕위에서 내려왔다. 파란만장했던 정도전의 삶에도 굵은 마침표가 찍혔다.


 정도전이 죽음으로써 국운을 건 고토 회복운동은 마감을 고했다. 개국 초기의 이상주의적 열정도 식어갔다. 고려의 구신들을 비롯한 보수 세력은 이방원을 통해 권력의 핵심에 복귀해 다시금 역사의 주도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정도전과 원수지간이었던 구세력의 거두 우현보도 재기해 이방원을 돕다가,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신으로 책봉되었다.


 천려(千慮)를 다하여 평생토록 흐트러짐이 없었던 의인이 일실(一失)의 우를 피하지 못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은 것은 하늘의 탓이 아니다. 천도(天道)는 무친(無親)이라, 하늘은 아무도 특별히 사랑하지 않는다. 인의의 사람이라 하여 특별히 도와주는 바도 없고, 불의의 사람이라 하여 앞길을 가로막지도 않는다. 이기고 지는 것은 인간의 책임일 뿐이다.


 오히려 역사는 인의의 길을 가려는 자에게 더 냉혹한 경향이 있다. 쇠는 벼릴수록 더욱 단단해지기 때문인가. 역사는 그 한때의 흐트러짐을 용납지 않고 정도전에게 준엄한 책임을 물었다. 역사의 추상같음이 이와 같았다.

 

-《정도전을 위한 변명》 397~398쪽-